🔨

여성의 손으로 다듬고 만든 한글 폰트 추천 - 돋움편

카테고리
FDSC ARTICLE
주제
장서각 궁체 중 하나인 『위씨오세삼난현행녹』 일부
한글은 1443년 조선의 4대 국왕 이도에 의해 창제되었다. 한편 한글 ‘서체’의 탄생과 발전을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 여성이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과 식자층은 한글보다 상위의 문자로 여긴 한자 위주의 문필생활을 이어갔다. 반면 여성과 어린이, 평민층 사이에서 한글이 활발히 통용되었고 특히, 궁 안의 내명부 여성들이 주고받는 문서와 편지에 붓글씨로 한글을 공들여 적으면서 글꼴의 형태적, 조형적 틀을 닦았는데 그것이 바로 ‘궁체’다. ‘궁체’는 오늘날 디지털 폰트의 ‘궁서체’로 복원되었고, 붓으로 쓴 한글 글씨의 이 양식은 명조체 폰트의 바탕이 되어 우리 일상 속 깊은 곳에 흘러 들어오게 되었다(출처: 유지원, 『글자 풍경』, 159p, 을유문화사).
오늘날에는 디지털 폰트가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으면서 한글 서체의 활용과 공공성이 극대화됐다. 그리고 여성 디자이너들은 여전히 한글 생태계의 중심에서 다양한 개성의 뛰어난 폰트를 제작하며 우리를 둘러싼 글자 환경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완성도와 활용도가 높은 폰트 중, 여성의 손으로 다듬고 만든 한글 폰트를 추천한다. 가장 고전적이고 무표정한 폰트에서 출발해 점점 캐릭터가 있고 독특한 시도로 제작된 폰트 순서로 나열했으며, 각 폰트의 간략한 특징과 함께 실제 여성이 만든 폰트가 어떻게 쓰였는지 여성 디자이너의 작업에서 찾아 그 활용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일러두기 여러 한글 글꼴 중에서 주관적 활용성과 완성도를 고려해 선정하고, 디지털 활자체의 성격으로 저작권이 인정되어 구매할 수 있는 폰트들을 선정했습니다.

돋움체

흔히 ‘고딕’이라고도 불리는 ‘돋움체’는 바탕 계열과는 다르게 글자 끝에 부리가 없고 획의 굵기가 일정하여 바탕 계열 폰트들보다 뚜렷하고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하여 이름이 붙었다. 한글 바탕체는 손으로 쓴 글씨인 ‘궁체’를 근간으로 다듬어지고 변주·발전된 것이라고 한다면, 돋움체는 먼저 확립된 서양의 산세리프 양식이 근대화를 통해 급격히 도입된 후 대응되어 탄생했고, 인쇄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관계를 맺으며 글자를 더 선명하게 보이게 하는 끝 돌기의 형태 및 유무를 결정하며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바탕 계열 폰트보다 글씨가 작게 사용되거나 멀리서 보았을 때 판독성이 좋아 거리의 간판이나 공문서, 디지털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디지털 활자 서체에서 한글 돋움체는 근대화와 함께 급격히 탄생하여 정립되었지만, ‘한글’ 자체 역사를 거슬러 최초의 한글 창제 시기로 가면, 『훈민정음』 및 『석보상절』에서 관찰되는 글자의 모양은 과학적이고 기하학적인 창제 원리가 잘 드러나도록 쓰여 손글씨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돋움체의 특성과 맥이 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추천하는 폰트들은 한글 창제 시기의 기하학적 원리와 형태적 맥을 잇는 폰트로부터 시작해, 1900년대 인쇄기술에 영향을 받아 고안되었던 요소가 녹아있는 폰트, 그리고 현대의 자유롭고 개성 넘치는 폰트 순으로 정렬하였다.

AG 초특태고딕

노민지, 정하린 AG 초특태고딕 구입처 agfont.com
최정호가 만든 돋보임용 민부리 글자를 원도로, 네모 칸에 꽉 차도록 두껍게 제작된 폰트다. 70~80년대 인쇄기술이 지금과 같이 섬세하지 못하던 시기, 글자를 완성도 있게 인쇄하기 위해 글자 모서리 끝부분이 조금씩 굵어지도록 디자인했던 ‘인쇄 여분 띠’의 전통에서 또렷함과 개성을 현대에 맞게 한층 더 살린 것이 특징이다. 돋움 계열의 폰트 중 두께가 매우 굵은 편에 속하는 폰트로 ‘ㅃ’과 같이 획이 많은 경우 굵기를 평균보다 가늘게 조정하고 속 공간의 비례를 분배하여 뭉치지 않고 고르게 보일 수 있도록 했다.
AG 초특태고딕으로 조판한 문단
AG 초특태고딕을 활용해 디자인한 〈FDSC.txt〉 카드뉴스 | 디자인: 노윤재, 이예연

지백 紙白

박진현 지백 텀블벅 펀딩 페이지 tumblbug.com/jibaek
1971년에 보진재에서 발간된 『재정회계 용어사전』의 5호 활자(10.5pt, 이하 ‘보진재 고딕’)를 본으로 삼은 10pt 기준의 본문용 활자가족이다. 단단하면서 동시에 담백하고 덤덤한 인상이 특징이며 현대의 다른 세련된 돋움 폰트들보다 차가운 인상이 덜하고 가로로 널찍해 안정적이고 중립적인 표정을 지녔다. 폰트의 이름 ‘지백’은 그런 특징에서 착안해 ‘가공하지 않은 종이 그대로의 백색’을 뜻한다. 120g, 260g, 400g 총 3가지 굵기로 구성되었고 정식 배포는 2021년 10월 예정이다.
지백의 굵기별 형태 예시
지백을 이용해 디자인한 〈카카오프로젝트100〉 서비스 화면의 일부 | 디자인: 손은진

Sandoll 그레타산스

위예진 Sandoll 그레타산스 출시 및 관련 소식 www.sandollcloud.com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설립된 폰트 회사 티포텍Typotheque에서 2012년 제작된 휴머니스트 계열의 라틴 알파벳을 한글화한 폰트로 산돌에서 작업 중이다. 손글씨에서 발전한 휴머니스트 계열의 폰트답게 대칭성이 적고 획의 굵기 변화가 두드러진다. 속 공간이 넓어 굵은 돋움 폰트임에도 불구하고 따뜻하고 부담스럽지 않은 인상이다. 특히 삐침의 장난스러운 처리는 그레타산스의 인상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Hairline부터 Black까지 10종의 대가족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자족을 지원한다. 2020년 6월 현재 베타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정규 서체는 2020년 10월 출시 예정이다.
Sandoll 그레타산스의 낱글자
Sandoll 그레타산스가 적용된 ‘네오-트라이브2020’ 웹사이트 디자인 | 디자인: 유연주
글 닿자에서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삐쳐서 그은 줄기. ㅅ, ㅈ, ㅊ, ㄱ, ㅋ에서 볼 수 있다. 보통 왼쪽으로 삐친 줄기만을 삐침이라고 하고, 오른쪽으로 삐친 줄기는 내림이라고 한다)

Ryu고운한글돋움

류양희 Ryu고운한글돋움 구입 문의 www.ryufont.com
류양희가 만든 ‘Ryu고운한글’ 시리즈 중 민부리 계열의 돋움체이다. ‘Ryu고운한글바탕’ 자매 서체로 구조가 같아서 돋움 폰트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고 푸근한 인상이다. 세리프의 흔적이 남아 있는 정도로 디자인되어 글자 획이 끝으로 갈수록 굵어지거나 얇아지는 등 미묘한 변화가 있다. 한글 돋움 폰트 역사의 발전적 특성보다는 손글씨의 특성을 살리고 다듬어진 돋움 폰트라고 할 수 있다.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스럽게 써 내려간 단정하고 고운 손글씨의 표정이 느껴진다.
Ryu고운한글돋움의 낱글자 ‘꽃’과 문장 조판

Sandoll 노도

김진희 Sandoll 노도 사용하기 www.sandollcloud.com
‘Sandoll 노도’는 Sandoll에서 ‘시대’를 의미적 주제로 삼아 제작된 폰트 중 하나로, 1960년대 민주화를 열망하는 군중의 힘찬 목소리를 모티프로 만들어졌다. 세로로 글자를 늘려놓은 듯한 모양으로, 세로획보다 굵은 가로획이 특징이다. 돋움 폰트의 곡선이 세로로 늘려지며 형성되는 날카로운 삐침이 빠르고 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한다. 독특한 공간 분배를 통해 시각적인 반전과 재미를 주고 실험적인 인상의 타이포그래피를 연출한다.
Sandoll 노도로 조판한 문구
Sandoll 노도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인문잡지 『한편』 1호, 민음사 | 디자인: 유진아

둥켈산스

함민주 둥켈산스 구입처 www.futurefonts.xyz/minjoo-ham/dunkel-sans
‘왜 한글 폰트의 가장 굵은 Black이나 Heavy는 그 이름처럼 두껍지 않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해 개발된 폰트로, ‘어두운’을 뜻하는 독일어 형용사 ‘dunkel’을 이름으로 삼았다. 실제로 글자의 획이 사각 틀 안에서 극단적으로 굵어진 형태이고, 조판 시 농도가 매우 짙다. 글자의 획이 일정하고 날카롭게 마무리되는 돋움 폰트의 특성상 굵게 디자인되며 자칫 지나치게 딱딱하고 위압적일 수 있었겠지만, ‘ㅅ’, ‘ㅈ’, ‘ㅊ’과 같은 자소의 내림이 둥글게 처리되어 글자 인상이 유연해지는 동시에 둥켈산스만의 개성으로 표현되었다.
둥켈산스의 낱글자
둥켈산스가 적용된 《세상에 눈뜨다: 아시아 미술과 사회 1960s–1990s》 전시 포스터 | 디자인: 원성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내린 글자줄기
글쓴이 이예연 ‘이응셋’ 이라는 별칭으로 독립출판, 비영리 활동,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등을 진행하였고 현재는 서울을 기반으로 1인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FDSC 편집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threecircles.kr threecircles.kr
책임편집 하형원
편집. 김나영, 김현중, 노윤재, 최지영, 하형원
FDSC에서 발행한 다양한 글이 보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