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의 손으로 다듬고 만든 한글 폰트 추천 - 바탕편

카테고리
FDSC ARTICLE
한글은 1443년 조선의 4대 국왕 이도에 의해 창제되었다. 한편 한글 ‘서체’의 탄생과 발전을 들여다보면 그 중심에 여성이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과 식자층은, 한글보다 상위의 문자로 여긴 한자 위주의 문필생활을 이어갔다. 반면 여성과 어린이, 평민층 사이에서 한글이 활발히 통용되었고 특히, 궁 안의 내명부 여성들이 주고받는 문서와 편지에 붓글씨로 한글을 공들여 적으면서 글꼴의 형태적, 조형적 틀을 닦았는데 그것이 바로 ‘궁체’다.
장서각 궁체 중 하나인 위씨오세삼난현행녹 일부
‘궁체’는 오늘날 디지털 폰트의 ‘궁서체’로 복원되었고, 붓으로 쓴 한글 글씨의 이 양식은 명조체 폰트의 바탕이 되어 우리 일상 속 깊은 곳에 흘러들어오게 되었다.1)
1) 유지원 «글자풍경» 159p.
오늘날에는 디지털 폰트가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으면서 한글 서체의 활용과 공공성이 극대화됐다. 그리고 여성 디자이너들은 여전히 한글 생태계의 중심에서 다양한 개성의 뛰어난 폰트를 제작하며 우리를 둘러싼 글자 환경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완성도와 활용도가 높은 폰트 중, 여성의 손으로 다듬고 만든 한글 폰트를 추천한다.
본 편에 속한 폰트들은 궁체를 형태적 근간으로 두고 디지털 활자체의 성격으로 다듬어진 ‘바탕’ 계열의 폰트들이다. 바탕 계열의 폰트는 붓으로 쓴 형태적 특징이 이어져 글꼴의 끝으로 갈수록 뾰족해지고 부리가 살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명조'라고 더 많이 불리는데 단어의 기원이 일본식 표현이 이어진 것이라 우리말로 순화한 것이 ‘바탕'이다. 끝에 뾰족한 부리가 있어 ‘부리 계열', 영어식 표현으로는 ‘serif’ 폰트라고 한다. 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형태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편안하고 안정적이며 오랜 기간 긴 글로 읽었을 때 눈에 피로감이 적어 단행본의 본문에 주로 사용된다.
폰트 디자인이 시간에 따라 발전하고, 2010년대 후반부터 여러 독립 폰트디자이너들이 활약하면서, 궁체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바탕 계열 폰트에서 점점 다양하고 개성적인 형태의 폰트로 분화하는 흐름도 찾아 볼 수 있었다. 본문용 바탕 계열 폰트의 경우, 고딕계열보다 상대적으로 글꼴 표정 선택의 폭이 좁다는 아쉬움이 제기되어 왔는데, 이를 극복하는 것에 목적을 둔 폰트들도 있다.
본 글에서는 가장 고전적이고 무표정한 바탕 폰트에서 출발해 점점 캐릭터가 있고 독특한 시도로 제작된 폰트로 순서를 나열해보았으며, 각 폰트의 간략한 특징과 함께 실제 여성이 만든 폰트가 어떻게 쓰였는지 여성 디자이너의 작업에서 찾아 그 활용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일러두기: 본 글에서는 여러 한글 글꼴 중에서 주관적 활용성과 완성도를 고려해 선정하고, 디지털 활자체의 성격으로 저작권이 인정되어 구매할 수 있는 폰트들을 선정했습니다.
AG최정호체std: 디렉션 노민지, 디자인 정하린
AG타이포그래피 연구소에서 출시된 본문용 폰트이다. 손으로 쓴 ‘글씨’였던 궁체를 최초로 기계적 활자체 형태로 정리한 ‘최정호의 원도’를 기반으로 오늘날의 디지털 폰트로 제작됐다. 부리가 크고 획의 끝이 날카롭게 마무리되어 있어서, 붓글씨을 기반으로 한 본문용 글꼴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으로 힘이 있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디지털 활자체의 기틀을 닦은 ‘최정호의 원도’를 모본으로 하기 때문에 고전적이고 중립적이며 신뢰감을 주는 본문 조판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디렉션은 노민지 디자이너가 맡았으며 한글 폰트는 정하린 디자이너가 만들었다.
AG최정호체std 조판과 알파벳 낱글자
AG최정호체std를 적용해 조판한 본문디자인. 봄알람 출판사의 «김지은입니다» | 디자인: 우유니
AG최정호체std 구입처
AG Typography Institute agfont.com
본명조 - 박수현, 위예진, 한동훈(남)
구글이 의뢰하고 어도비사가 발표한 본명조는 두 명의 여성 디자이너가 합류해 만든 완성도 높은 바탕 폰트다. 7가지 웨이트로 무려 65,535개의 글리프로 완성되었으며, 오픈소스 폰트로 누구나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PC와 모바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기 좋도록 디자인되어 크기가 작아져도 가독성이 좋으며, 한중일 글자를 모두 지원하여 다국어로 표출되는 본문 조판에서 고르게 표현할 수 있다. 글자 처음에 오는 닿자(자음)가 AG최정호체std보다 크고 전각 속에 균일하게 차 보인다.
본명조는 ExtraLight부터 Heavy까지 7종의 웨이트로 구성되어있다.
본명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잘 활용한 사례로 온라인 미디어 ‘핀치 https://thepin.ch/’의 웹사이트 디자인을 찾아볼 수 있다. | 디자인: 박효정
본명조 다운로드
Ryu고운한글바탕 - 류양희
류양희가 만든 ‘Ryu고운한글’ 시리즈 중 부리 계열의 바탕체이다.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스럽게 써 내려간 단정하고 고운 손글씨의 표정을 담았다. 글자 끝 부리가 날카롭게 뻗치지 않고 둥글려져 있어 부드럽고 편안한 인상이 든다. 재미있는 특징으로, ‘고운 한글'의 또 다른 글자 가족으로 돋움 계열의 ‘Ryu고운돋움’이 있어 바탕과 돋움 폰트를 함께 쓸 때 조화롭고 고르게 조판할 수 있다.
‘Ryu고운한글바탕’의 낱글자와 줄글
Ryu고운한글바탕(좌), Ryu고운한글돋움(우) 비교
‘Ryu고운한글바탕’과 ‘Ryu고운한글돋움’을 함께 활용한 «둘이 같이 프리랜서» 북 디자인. ‘Ryu고운한글바탕’은 반복되는 두 단어 중 뒷글자와 ‘황효진' 텍스트에 쓰였다. | 디자인: 오늘의풍경 (신인아)
Ryu고운한글바탕 구입처
나리운 - 이수현
세로쓰기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본문용 서체이다. 대부분의 폰트는 가로쓰기를 기준으로 디자인되어 세로쓰기로 전환했을 때 글줄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나리운’은 세로쓰기에 적합한 글줄로 조정되어 있고, 유용한 글리프가 세팅되어 있다. 문장 부호도 명조 계열 활자의 흐름에서 중요한 ‘박경서체’를 모본으로 만들어졌으며 본문용과 제목용 두 가지 웨이트로 구성된다. 8~14pt에서 가장 이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리운’ 세로쓰기 조판
나리운 폰트로 제작된 메탈 스티커 | 디자인: 이수현
나리운 구입처
아리따부리 - 류양희
류양희가 아모레퍼시픽 의뢰로 디자인한 오픈 소스 폰트로 기존 명조체의 예스러운 표정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표정을 가미한 폰트다. 고전적인 바탕꼴 형태를 기반으로 손글씨처럼 부드럽게 휜 글자 줄기와 유연하고 간결한 형태가 특징이다. 헤어라인(hairline)이라는 가장 가는 굵기의 폰트를 포함하여 쓰임의 범위가 넓다. 2015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타이포그라피 부분에서 상을 받았다.
아리따부리 조판
아리따부리 폰트가 적용된 문학과지성사 〈오정희 컬렉션〉 표지디자인 | 디자인: 박미정, 이경진
아리따 부리 다운로드
Sandoll 단편선 바탕 - 이수현, 강주연
Sandoll에서 최근 발표된 본문용 폰트로 바탕계열 본문 폰트의 부족한 활자군의 선택지를 넓히기 위해 개발되었다. 기존의 딱딱하고 격식 있는 느낌의 본문용 바탕 계열의 글꼴에 캐주얼한 인상을 불어 넣은 것이 특징이다. 산돌 단편선 바탕에 이어 돋움이 출시될 예정이다.
단편선은 Regular, Bold 두 개의 웨이트로 구성되어있다.
Sandoll 단편선 바탕이 사용된 «피리 부는 여자들» 내지디자인 | 디자인: BOSHU 신선아
Sandoll 단편선 바탕 사용하기
Sandoll 정체 - 디렉션 심우진(남), 한글디자인 송미언, 박수현, 라틴알파벳 김초롱
글자의 ‘뼈대’를 기초로 패밀리가 서로 다른 성격으로 변주해나가는 독특한 본문용 폰트이다. 530은 ‘펜’, 630은 ‘붓’, 730은 20세기 후반의 ‘납활자’ 획의 특징으로 개발되었고 830은 730의 뼈대위에 획의 윤곽을 현대적으로 다듬은 폰트이다. 530, 730과 같이 첫 숫자가 홀수이면 ‘돋움체(민부리)’의 특성으로 ‘뼈대’가 두꺼워지고, 630, 830과 같이 짝수이면 ‘바탕체(부리)’의 특성으로 ‘점획’의 윤곽이 두드러지도록 설계되었다.
현재 Sandoll 정체는 530, 630, 730, 830의 네 가지 스타일로 구성되어있다.
Sandoll 정체 530를 적용한 caBooks «하루의 끝, 위스키» 본문 디자인 | 디자인: 데저트팜 양으뜸
Sandoll 정체 사용하기
Sandoll 늦봄 - 구모아, 박지인
붓글씨의 모티프를 살려 특유의 서예적 감성과 여유 있는 느낌이 담겨있는 서체이다. 글자의 부리 부분이 날카롭게 뻗치지 않고, 두껍게 맺힌 형태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정갈하게 쓴 서예적 특성이 절제되어 반영됐다. 라틴알파벳도 붓글씨의 형태적 특성을 살려 톡특하고 서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White-Light-Medium-Black 4가지 웨이트로 구성됐다.
Sandoll 늦봄은 네 가지 웨이트로 구성되어있다.
Sandoll 늦봄 폰트를 이용해 구성한 안전가옥 행사 포스터 | 디자인: 이응셋 이예연
Sandoll 늦봄 사용하기
Sandoll 눈솔- 김진희
목판본으로 제작된 오륜행실도 언해본의 글자를 재해석한 폰트로 기존 부리 계열 폰트의 미려하고 곡선적인 인상에서 벗어나 곧은 형태, 완만한 기울기, 넓은 받침 구조를 활용해 안정적이고 견고한 인상을 전달한다. 전통적이고 예스러운 느낌이 나는 목판본 폰트를 모본으로 한 서체이지만, 현대적인 느낌으로 다듬어졌고 담담하면서도 힘 있는 어조의 텍스트와 잘 어울린다.
눈솔체 글꼴보기
Sandoll 눈솔 폰트를 적용한 소설집 «동파»의 홍보 그래픽 | 디자인: studio2425
Sandoll 눈솔 사용하기
옵티크(Optique) - 노은유
한글과 라틴 알파벳을 위한 다국어 글꼴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한글은 붓, 라틴은 넓은 펜촉을 바탕으로 조화로운 인상을 보이도록 디자인 됐다. 세로획과 가로획의 대비가 강해 힘 있는 어조의 텍스트와 잘 어울린다. 폰트의 이름 ‘옵티크'는 시각적(Optical) 크기에 따라 본문용(Text)과 제목용(Display)으로 나누어 구성했다는 뜻으로 현재는 제목용(Display)이 출시되었고 본문용(Text)은 출시 예정이다.
옵티크 글꼴보기
옵티크를 제목 폰트로 활용한 표지디자인 «을들의 당나귀 귀», 후마니타스 | 디자인: 박연미
옵티크(Optique) 구입처
AG Typography Institute agfont.com
아르바나(Arvana) 한글 - 이노을
앞서 소개한 옵티크가 한글-라틴의 서로 다른 도구의 형태적 특징을 조화시킨 폰트라면 ‘아르바나’는 다른 접근을 시도한 폰트이다. 본문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명조 계열의 서체이되 전통적인 붓이 아닌 서양 특유의 캘리그라피 도구, 넓은 펜촉의 ‘브로드닙 펜-broad nib pen’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형태를 한글꼴과 접목하면서 탄생했다. 받침 ‘ㄴ' ‘ㄹ'에서 도드라지는 곡선이 부드러운 인상을 주면서도, 쓰기 도구 ‘브로드닙 펜-broad nib pen’이 가진 날카로운 인상이 함께 느껴지는 독특한 표정을 지녔다. 한글은 이노을이, 라틴 알파벳은 Loris Olivier(남)가 각각 디자인 했다.
아르바나 글꼴보기
아르바나 폰트를 본문 폰트로 활용한 «디자인FM»의 내지 디자인 | 디자인: 신인아(오늘의풍경), 장윤정
아르바나 구입처
Future Fonts futurefonts.xyz
FDSC 지식인 채널에서 주고받은 ‘여성이 만든 폰트 추천’ 타래에서 도움을 받았습니다.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FDSC 최고!
‘돋움’ 폰트 편이 이어집니다.
글쓴이. 이예연
‘이응셋’ 이라는 별칭으로 독립출판, 비영리 활동,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등을 진행 하였고 현재는 서울을 기반으로 4년째 1인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 중이다. FDSC 편집국에서 활동 중이다.
책임편집. 하형원
편집. 김나영, 김현중, 노윤재, 이예연, 최지영
FDSC에서 발행한 다양한 글이 보고 싶다면!